앞으로 4년간 단계적으로 도시가스 요금이 인상되는 가운데, 동절기 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한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신청(취사용, 전년도 사용량 없는 세대 제외)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■ 목차
1. 도시가스 요금 계산·조회
1) 가스 요금 계산
용도별 | 계산법 | 비고 | |
주택용 | 취사 | [기본요금 + 사용열량 X 단가+ 계량기교체비] X 1.1(부가세) | 기본요금 950원 (경기도) 840원 (인천시) 계량기 교체비용 미부과 대상 : 7등급 이하 |
난방 | [기본요금 + (사용열량 - 516MJ) X 난방단가 + (516MJ X 취사단가) + 계량기교체비] X 1.1(부가세) *사용량의 516MJ까지 취사단가 적용 | ||
기타 용도 | [(사용열량 X 단가 + 계량기 교치비] X 1.1(부가세) |
*계산방법이 너무 복잡하므로 카카오톡이나 도시가스 홈페이지 사이트에 접속하여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.
● 서울과 인천의 경우 예스코 홈페이지에서 가스요금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.
예스코
www.lsyesco.com
2) 가스 요금 조회
- 카카오톡 도시가스 요금 조회하기



카카오톡 친구 추가에서 도시가스를 검색해 각 지역별 회사 등 하나를 선택하여 도시가스 요금 조회 및 납부와 계산까지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.
- 도시가스 고객센터 조회
- 도시가스의 경우 각 지역마다 관리하는 곳이 다르므로 도시가스협회 사이트에서 고객센터 찾기를 통해 조회 가능
한국도시가스협회
--> --> 도시가스 고객센터 조회 --> --> 도시가스 고객센터 찾기 지도 위에 ‘해당 지역을 클릭 해주세요.’ 지역 고객센터 지역 고객센터
www.citygas.or.kr
2. 도시가스 요금 납부 방법
- 도시가스 요금 납부 방법은 집으로 배달된 지로를 가지고 직접 은행에 들러 납부하는 방법과 온라인으로 도시가스 사이트에 접속하여 신용카드 납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
▶ 도시가스 온라인 신용카드 납부
위의 한국도시가스협회 사이트에서 내지역 도시가스 고객센터 찾기로 납부하시면 됩니다.
3.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
1) 제도소개
- 한국가스공사에서 전국민 대상으로 동절기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한 제도
▶ 참여대상
- 주택난방용 / 중앙난방용 도시가스 사용자 누구나 가능(취사용·취사전용, 전년도 사용량 없는 세대 제외)
▶ 신청 기간
- 신청 기간 : 2022년 12월 ~ 2023년 1월
- 신청자 중 선착순 2만 명에게 방한용품 지급
2) 절약 기간
- 2022년 12월부터 2023년 3월까지 절약
- 성공 시 신청자 계좌번호로 6월 말 현금 지급 예정
▶ 캐시백 지급 기준
- 전년 종기간 대비 7% 이상 절감 시 절감률 별 차등 지급
- 사용량 부피 단위로 해당월의 고지서 기준 계산
● 7% 이상 절감 시 : ㎡ 당 30원
● 10% 이상 절감 시 : ㎡ 당 50원
● 15% 이상 절감 시 : ㎡ 당 70원
4.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방법
1)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사이트에 접속해서 회원가입 하기
2) 일반 가정집은 개인회원 선택
- 1인 1 계약번호로만 신청 가능
3) 약관동의 체크 후 핸드폰 본인 인증하기
4) 회원가입에 필요한 정보와 도시가스 고객정보 입력
- 고지서 좌측 상단 납부자번호 9자리 입력
5) 가입 완료
- 3월 이후 캐시백 대상자에게 알림톡 예정
도시가스 절약 캐쉬백
copyrighty(c) K-가스캐쉬백 all rights reserved
k-gascashback.or.kr
도시가스 요금이 인상되는 가운데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신청으로 캐시백뿐만 아니라 선착순 안에 들어 방한용품도 받고 절약기간 동안 성공하여 6월 말에 현금으로 지급도 받으시기 바랍니다.
다주택자 주택담보대출 30% 상한 허용
부동산 규제 완화 속도를 조절 중인 정부가 주택시장 붕괴를 막기 위한 방안으로 다주택자도 주택담보대출비율(LTC) 30% 상한 허용 한다고 발표했습니다. 세금·대출 등의 규제를 완화하여 다주택
goodoha.com
'알쓸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주신경성 실신 정밀검사 후기 (0) | 2023.02.17 |
---|---|
올해부터 오르는 공과금 보험료 및 교통비 (0) | 2023.02.03 |
연말정산 간소화 쉽고 간단하게 하는 법 (0) | 2023.01.17 |
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 신청방법 및 본인부담금 (0) | 2023.01.15 |
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 발급 사용 (0) | 2023.01.08 |
댓글